재산세 납부 시 활용 가능한 할인 카드 소개
매년 7월이 되면 많은 분들이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게 됩니다. 이때, 납부해야 할 세금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, 다행히도 다양한 카드사에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답니다. 이 글에서는 재산세를 저렴하게 납부하기 위해 유용한 할인 카드와 그 혜택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.

재산세란 무엇인가?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특정 재산을 소유한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. 이 세금은 주로 건축물, 토지, 주택, 선박, 항공기 등 다양한 유형의 자산에 대해 적용됩니다. 일반적으로 주택에 대한 재산세는 두 번에 걸쳐 납부할 수 있으며, 납부 기간은 7월과 9월로 나뉘어 있습니다.
재산세 납부 카드 할인 혜택
각 카드사에서는 재산세 납부 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아래에서 카드사별로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KB국민카드
KB국민카드의 ‘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’를 이용하면 재산세를 납부할 때 최대 7천 원의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이 혜택을 받으려면 전월 실적이 30만 원 이상이어야 하며, 10만 원 이상의 결제에 해당합니다.
- 혜택: 최대 7천 원 환급
- 대상 카드: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
- 조건: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
2. BC 바로카드
BC바로카드는 재산세 납부 시 최대 1만 원의 결제일 할인을 제공합니다. 이 혜택은 누적 이용 금액에 따라 적용되며, 50만 원 이상 결제 시 2천 원, 100만 원 이상 결제 시 5천 원, 300만 원 이상 결제 시 1만 원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혜택: 최대 1만 원 결제일 할인
- 대상 카드: BC바로 개인 신용카드
- 혜택 기간: 2024년 7월 1일 ~ 7월 31일
3. 신한카드
신한 개인 체크카드를 이용할 경우, 전체 납부 금액의 0.1%를 현금으로 캐시백 받을 수 있습니다. 캐시백 금액이 1만 원 미만일 경우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됩니다.
- 혜택: 전체 납부 금액의 0.1% 캐시백
- 대상 카드: 신한 개인 체크카드
- 캐시백 지급일: 2024년 8월 7일

4. 하나카드와 우리카드
하나카드 및 우리카드는 재산세를 납부할 때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합니다. 특히, 하나카드는 10개월과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, 우리카드는 10개월과 12개월 모두 가능하지만, 이자 면제 조건이 다릅니다.
- 하나카드: 10개월 및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
- 우리카드: 최대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
5.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
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또한 재산세 납부 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네이버페이를 통해 10만 원 이상 납부할 경우 추첨을 통해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- 네이버페이: 10만 원 이상 납부시 1만 명 추첨, 포인트 제공
- 카카오페이: 70만 원 이상 납부 시 1,000원 지급 등 이벤트 진행

결론
재산세는 매년 꼭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지만, 다양한 카드의 할인 혜택을 활용하면 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위에서 소개한 카드와 혜택을 참고하여 적절한 카드를 선택하시고, 할인 혜택을 통해 조금이나마 재정적인 이득을 보시기 바랍니다. 현명한 소비를 통해 세금 부담을 줄여보세요!
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
재산세를 납부할 때 어떤 카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재산세 납부 시 여러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KB국민카드는 최대 7천 원 환급, 신한카드는 0.1% 캐시백을 제공합니다.
재산세 납부를 위한 무이자 할부 옵션은 어떤 카드에서 제공하나요?
하나카드와 우리카드는 재산세 납부 시 무이자 할부를 제공합니다. 하나카드는 10개월과 12개월 선택이 가능하며, 우리카드는 12개월 무이자 할부를 지원합니다.